포항신역사에서 KTX 현장보고회 가져 - 경북방송 (GBS TV)
  • HOME
  • 즐겨찾기추가
  • 시작페이지로
회사소개 설문조사
모바일보기
회원가입 로그인
2025년05월04일sun
기사최종편집일: 2025-05-01 14:27:56
뉴스홈 > 사회.교육 > 사회
2014년04월08일 11시41분 684
글자크기 기사내용 이메일보내기 뉴스프린트하기 뉴스스크랩하기
트위터로 보내기페이스북으로 보내기미투데이로 보내기 포항신역사에서 KTX 현장보고회 가져
연결도로, 시내버스 노선 조정, 주차장 문제 등 논의

포항시는 7일 KTX 신역사 현장 사무실에서 김재홍 포항시 부시장 주재로 포항시, 한국철도시설공단, 코레일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KTX 개통 대비 준비사항 현장 보고회’를 가졌다.

이날 보고회는 올해 12월 개통하는 KTX 건설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유관기관과의 유기적인 협조를 통해 사전에 예상되는 문제점과 대책을 논의하는 등 KTX 포항시대를 완벽하게 준비하기 위해 마련됐다.

보고회는 한국철도시설공단의 KTX 직결선 및 신역사 건립 추진현황 보고와 포항시 담당부서장들의 개통 준비사항 보고가 있은 후, 김재홍 부시장 주재로 분야별 예상되는 문제점과 대책들에 대한 다양한 의견과 대책이 논의됐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신역사 중심의 교통망 구축을 위해 삼도아파트~신역사, 이인지구~신역사, 영일만대로~신역사간 도로를 개설하고, 인근 지역의 이용객 편의를 위해 시외버스를 신역사로 경유할 예정이다.

또한, 시내버스 노선연장, 택시 승강장 및 주차장을 설치하고 어느 지역에서나 접근이 용이하도록 시내 전역에 도로 안내표지판 86개를 설치하기로 했다.

포항의 지역특화자원과 연계한 관광 상품을 개발하고 홍보하기 위해 KTX 포항역 내 관광안내소를 설치하고, 죽도시장, 포항운하, 첨단과학투어, 문화유적탐방 등 포항만이 갖고 있는 관광자원과 연계한 상품을 중점적으로 개발하기로 했다.

농어민들의 소득증대를 위해 역사 내에 농특산물 매장을 운영해 포항역을 이용하는 승객들에게 지역 농 축 수산물의 우수성을 홍보하는 한편, SNS, 대도시 전광판, 인터넷 포털사이트 등을 통해 대대적으로 KTX 포항 개통을 홍보할 방침이다.

이어진 토론회에서는 포항역사 진입도로 중 달전 교차로에서 신역사로 진입하는 도로가 지금도 정체가 심하다며 진입로 입체화 등 개선책을 검토하기로 했다.

또, 시내 외버스, 관광버스 등이 정차할 공간과 택시 승차장이 지금의 설계대로 한다면 협소하고, 경주신역사에서 보듯이 주차면적이 500면으로는 부족하다며 주차면수를 늘려줄 것을 건의하는 등 승객의 불편이 예상되는 다양한 문제점들이 토론됐다.

아울러, 시내버스 2개 노선 조정 외 추가노선 필요성 여부, 우현동~신역사간 도시계획도로 조기 개설, 신역사 내 관광안내소와 농특산물 매장 위치조정 문제 등도 심도 있게 논의돼 다양한 의견과 대책이 쏟아졌다.

포항시 김재홍 부시장은 “포항의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KTX 개통에 맞춰 교통망 등 편의시설을 사전에 완벽하게 준비하고, 각 분야별로 수도권 홍보에도 최선을 다하여 포항이 다시 한 번 도약하는 계기로 삼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뉴스스크랩하기
박태윤기자 (press@gbstv.kr)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보기
사회섹션 목록으로
다음기사 : 안상섭 경북교육감 예비후보, 안동에서 북부권정책투어 시작 (2014-04-08 17:41:17)
이전기사 : 알뜰 문화장터 ‘포항벼룩시장’ 인기 (2014-04-07 10:15:33)
한국수력원자력, 7...
  한국수력원자력(사장 황주호, 이하 한수원)이 오는 5월 ...

인사이동
회사소개 개인정보보호정책 이용약관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공지사항 독자투고 기사제보 입사지원
Copyright ⓒ 2007 경북방송 All rights reserved.
본 신문에 게재된 기사, 링크에 대한 모든 법적권리와 책임은 기사작성자 경북방송에게 있습니다.

제호 : 경북방송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아00053호 | 등록일 : 2007년 9월 4일 | 메일 : parkty22@naver.com
주소 : 경북 포항시 남구 해도동 54-5 3층 | 대표전화 : 054-276-9111 | 팩스 : 0303-3444-2071|
발행인 : 박태윤 | 편집인 : 박태윤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태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