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세관이 발표한 4월 지역 수출입 동향 분석자료에 따르면 수출은 6억 8천4백만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23.7% 증가했으며, 수입은 전년동월대비 53.0% 증가한 6억 4천7백만 달러로 4월 무역수지는 3천7백만 달러 흑자였다.
수출은 철강재 가격상승에 따른 국내 철강금속제품의 가격경쟁력 회복으로 전년동기대비(누계) 17.1% 증가해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수입은 철강경기 침체 상황 속에서도 광산물과 철강금속제품의 수입이 증가해 전년동기대비(누계) 46.6%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품목별 수출실적을 보면 전체 수출액의 82.5%를 차지하고 있는 철강제품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증가했으며, 기계류는 러시아에 대한 자동차 수출이 감소해 전년동월대비 23.4% 감소세다.
지역별로는 동남아(44.3%), 미국(46.7%), 중국(25.3%), 일본(48.2%) 등 주요 수출 지역의 철강제품 수출이 크게 증가했으며, 유럽(Δ13.3%), 대만(Δ6.3%)은 감소했다.
주요 품목별 수입은 철강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철광석, 유연탄 등 원자재 가격이 상승해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광산물은 52.7%, 철강금속제품은 61.1% 증가했고, 전자전기제품은 미국으로부터의 수입 감소로 인해 50.0%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미국(Δ47.1%)을 제외한 호주(38.7%), 일본(15.6%), 중국(62.3%) 등 대부분 지역에서 수입이 증가했으며, 특히 캐나다(428.6%)에서 광산물의 수입증가로 크게 증가했다.
이 뉴스클리핑은 http://gbstv.co.kr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