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민들이 수도권 및 일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싼 도시가스요금을 부담하고 있으며 그 원인으로 타 지역에 비해 평균 2배 이상 높게 책정되는 ‘공급비용(영업이윤)’이 지적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도시가스 요금결정은 한국가스공사로부터 공급받은 도시가스 도매요금에다 공급비용(영업이윤)을 더해 결정되는데 공급비용은 해당 광역단체에서 일정한 금액을 부여해주는 영업수익이다.
경북도는 한국가스공사의 도매가격 변동에 따라 물가대책위원회를 열고 도시가스 업체의 영업수익인 ‘공급비용’을 결정했으며 그리해 2014년 1월 8.75%였던 공급비용은 2016년 11월 현재 평균 17.4%로 2년 사이에 약 2배가량 상승했다.
가스도매가가 하락해도 경북도에서 공급비용을 높여주어 가스공급업체들은 높은 수익률을 보장받을 수 있었으며 그 결과 영남에너지서비스는 2015년에 약 1천억원, 서라벌도시가스는 6년 동안 523억5730만원, 대성청정에너지는 2년 동안 33억원의 배당잔치를 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업체는 읍면지역에 도시가스공급망 설치도 외면하는 등 자신들의 배불리기에만 급급한 모습을 보여 경북도의 공급비용 산정에 정략적인 측면이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기까지 하다.
더불어민주당 오중기 경북도당위원장은 “도내 도시가스공급업체들은 도시가스공급망 설치도 외면하는 등 자신들의 배불리기에만 급급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이에 경북도는 업체들에게 지원되는 공급비용 산정에 과한 측면이 있는 것은 아닌지 재검토해 볼 것과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싼 도시가스 요금을 즉각 현실화 할 것을”촉구한다.